본문 바로가기
☆ 정보/- 장소

방구석 투어 / 이스라엘 박물관 - 가나안 땅편 4부

by 톡톡오늘 2022. 3. 30.

우리가 아는 고대의 갑옷 가운데는 찰갑(미늘 갑옷)이 있는데요 쇠나 뼈를 끝으로 이어서 만든 갑옷으로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제작되고 사용된 갑옷입니다. 이러한 갑옷은 일찍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사용되기도 했는데요 그들은 최초의 찰갑을 만들었던 기록이 있으며 고대의 전투 기록을 보면 그러한 찰갑을 입고 전투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기도 합니다. 찰갑의 등장과 함께 군사적 우위를 가져오기도 했는데요 아시리아 제국은 이 찰갑을 입은 병사들을 통해 중장보병이라는 개념이 본격화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찰갑을 입은 병사들은 방어력이 높았고 적군으로 하여금 심리적 압박감을 주기도 하였는데요 고대 가나안에서도 이스라엘이 가나안 지역을 점령하기 전부터 이러한 찰갑을 입은 군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흥미롭기도 합니다. 이제 가나안과 관련된 나머지 유물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이는 칼은 이집트와 가나안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코페시(Khopesh)라는 명칭의 전투용 도끼에서 발전한 낫 모양의 칼입니다. 이 무기는 일반적으로 50-60cm 정도 되었고 안쪽으로 곡선이 있어서 상대방의 방패를 피해 팔을 쉽게 공격할 수 있었습니다. 이 무기들은 청동으로 만들어지다 이후 철로도 만들어졌는데요 칼날은 구부러진 끝의 바깥쪽 부분만 날카롭게 되어 있습니다. 이집트 부조에도 이 칼이 묘사되어 있는데요 이 칼은 모든 보병이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이며 특수 병과의 정예 부대나 장교들이 사용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나안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청동검의 모습입니다. 이러한 청동검은 일반적으로 80cm보다 길지는 않았으며 학자들마다 기준점이 다르기는 하지만 40cm를 기준으로 장검과 단검으로 분류됩니다. 고대 세계에서 유럽과 메소포타미아, 중앙아시아, 북인도에서 중국까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칼은 일반적으로 허리 왼쪽에 찼고 가죽 칼집에 넣었습니다. 이러한 청동검은 오랜 기간 사용되었지만 이후 철기 시대에 철 생산량이 급속도로 올라가면서 서서히 철검으로 시대가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가나안의 군대 가운데 정규 부대나 기병 가운데는 지금 보이는 것과 같은 비늘 갑옷을 입는 군인도 있었습니다. 이들은 소작농으로 된 일반 보병들보다 잘 훈련되어 있었고 투구를 착용하고 낫과 방패, 전투용 도끼도 함께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들 군대는 철 병거를 소유하기도 했는데요 전술적인 임무에 따라 3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전투에 나서기도 하였습니다. 가나안 군대는 전차 부대에 의존하는 편이었으나 근거리 궁수와 창병도 있었으며 도시 국가들로 이루어진 가나안 동맹체를 통해서 이집트와도 견줄 만큼 군사력 정점에 이르게 됩니다. 이들은 가나안 전역을 통치하는 왕은 없었기에 통일된 국가적 사령부는 없었지만 도시 국가들끼리 서로 협력하여 행동하였고 군대의 이동과 배치를 유연하게 하였습니다. 이집트의 투트모세 3세는 므깃도에서 가나안 방백들의 연합군과 대치할 때 그러한 방어 시스템을 잘 활용하였습니다.

가나안은 다른 지역과의 해상 무역을 통해 경제적으로 많은 부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연안 어업 활동과 여행을 위해서도 다양한 선박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가나안 지역에서도 페니키아 지역의 사람들은 가나안 북쪽 지역을 중심으로 지중해 전역을 따라 해상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습니다. 특히 시돈과 티레를 중심으로 이들은 사람이 노를 저어서 움직이는 범선인 갤리선을 이용하여 교역하였는데 실제 갤리선을 최초로 활용한 문명이기도 하였습니다. 가나안과 페니키아를 같은 민족이었는지는 여전히 논란이 있지만 다른 가나안 도시 국가들 역시 해상 무역에 활발히 참여하였다는 다양한 증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의 조각상은 파라오 메르넵타(Pharaoh Merneptah)라는 이름이 새겨진 상아 조각상입니다. 그는 람세스 2세(Ramesses II)의 13번째 아들이었으며 이집트 제19왕조의 네 번째 파라오입니다. 그는 친형인 켐와셋(Khaemwaset)을 포함하여 모든 형들이 죽으면서 권력을 잡게 되었는데 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 그의 나이는 아마도 일흔 살쯤 되었습니다. 그는 카이로 박물관에 있는 ‘메르넵타 승리 비석’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메르넵타가 리비아와 그 동맹국에 대한 승리를 다루는 내용이지만 28행의 마지막 3행은 가나안 원정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27행에 있는 상형 문자에는 이스라엘로 번역이 되는 부분이 있기에 이 비석은 때때로 ‘이스라엘 비석’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 비석은 고대 이스라엘을 언급하는 4개의 비문 중 하나입니다. 이 비문을 통해서 다른 소규모 가나안 도시들과는 다르게 이스라엘을 하나의 초기 국가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스라엘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지는 파라오 가운데 하나입니다.

고고학자들은 고대 이스라엘에서 수백 개의 구슬과 금 귀걸이, 인장 반지를 포함한 가나안 시대의 장신구들을 발굴하였습니다. 이러한 발견물의 일부는 인근 이집트에서 유래된 것일 수도 있지만 가나안 여성의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래 상아로 만든 아름다운 목걸이는 라기스 지역의 포세 신전(Fosses Temple)에서 출토되었는데요 가나안의 다른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고대 이집트 예술의 영향을 받은 목걸이로 보입니다. 이처럼 가나안 사람들은 화려한 악세사리들을 사용하였는데요 상아 외에도 금이나 은, 보석들을 활용한 정교한 장신구들도 현재까지 많이 출토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4부작으로 된 가나안 편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전시관의 주제는 이스라엘과 성경인데요 흥미로운 전시물들을 많이 소개해 드릴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