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보/- 장소

방구석 투어 / 이스라엘 박물관 - 이웃 문화편 5부(메소포타미아)

by 톡톡오늘 2022. 4. 15.

오랜 기간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을 4대 문명이라 불러왔습니다. 그리고 오랜 기간 그렇게 믿어오기도 했고 중국에서의 주장에 의해서 고대 중국 문명이 황하강 계곡에서 외부의 영향 없이 독자적으로 발생했다고 생각되어 왔습니다.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는 이집트 문명이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지리적으로 서로 가깝고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인더스 문명도 그러하지만 황하 문명은 지리적 장벽으로 독자적으로 발전했다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4대 문명에 대한 비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황하 문명을 세계 10대 문명에도 들어가지 못한다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오히려 역사로 따지면 히타이트나 페니키아, 유대 지역 등이 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오히려 중국의 황하 문명은 메소포타미아의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게 더 정확할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1990년부터 대동강 문명까지 붙여서 세계 5대 문명설을 밀고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것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된 문명이 다른 지역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제 계속해서 메소포타미아의 유물들을 보겠습니다.

지금 보이는 부조의 인물은 티글라스 필레사르 3세(Tiglath-pileser III)입니다. 그는 신 아시리아 제국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있으며 아시리아 제국에 첫 상비군을 창설하고 근동이 많은 부분을 정복한 인물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아시리아 제국의 대부분의 지역을 정복했던 가장 성공적인 군 지휘관 중 한 명이었는데요 그가 군대를 개혁하기 전까지의 아시리아 정규군은 왕과 다른 귀족과 관리를 보호하는 소수의 경호원이었고 전쟁이 나면 대부분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군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군사 행동이 필요할 때는 많은 병력을 동원하기 좋았지만 약점도 있었는데요 전투에서 주요 장교들이나 인물들이 전사하면 병사들은 다시 자신들의 생업을 위해 탈영하는 일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는 상비군을 도입하고 외국 군인과 아시리아 군의 통합을 위해 같은 장비와 제복을 입히게 되었으며 기병과 병거를 발전시키게 됩니다. 이 왕은 성서에도 등장하는 왕으로 열왕기하 16:7에서의 디글랏빌레셀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역대기상 5:26에서는 ‘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성서에 나오는 최초의 아시리아 왕이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비문에는 북쪽 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하고 그들이 바친 조공을 언급하기도 하였습니다.

지금 보이는 전시물은 날개 달린 정령(Winged genie)이라는 아시리아 조각입니다. 정령이나 요정이라는 하기에는 너무나 근육질에 수염난 남성의 모습이라 이질감이 있는데요 고대 아시리아 궁전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령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형태의 모습인데요 첫 번째로 뿔이 달린 투구를 쓰고 수염을 기른 날개 달린 모습과 두 번째로 투구 대신 왕관을 쓰고 수염을 기른 날개 달린 모습과 세 번째로 근육질의 새 머리를 가진 수컷의 날개 달린 모습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왕족의 일원을 알려주는 로제트 양식의 팔찌를 차고 있고 무릎길이의 튜닉을 입고 있습니다. 이 정령은 모두 대홍수 전에 현명한 인물로서 아카드어로 압칼루(Apkallu)로 알려진 존재로 되어 있는데요 신과 같은 인류 시대에 존재했던 인물이며 신 엔키(Enki)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대홍수 이전에 거주민으로서 지구를 배회하고 있던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솔방울과 양동이처럼 보이는 것을 들고 있는데요 이 두 가지는 일반적으로 생명의 나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해석으로는 나무에 비료를 주고 돌보는 요정의 모습으로서 아시리아 제국을 보호하는 힘으로 여기도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부조의 인물은 샤푸르 1세(Shapur I)로서 사산 페르시아 왕조의 2대 샤한샤(카이사르처럼 군주를 가리키는 호칭입니다)로서 재위 기간은 기원 242년부터 272년까지였습니다. 그는 로마 황제를 포로로 잡아들이고 굴복시킨 샤한샤이며 페르시아의 재부흥을 일군 명군으로 평가받는 인물입니다. 그의 재위 초에는 로마와 한동안 평화를 지속하다가 로마가 게르만족의 침략으로 혼란에 빠지는 것을 보고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을 공격해 아르메니아를 점령하고 253년에는 시리아의 안티오크를 약탈하였으며 260년에는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와의 일전에서 그를 포로로 잡는 엄청난 성과를 거두게 됩니다. 로마 입장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적국에게 포로로 잡힌 황제였기에 치욕스러운 일이었는데요 그 당시 로마 제국은 제국의 힘이 약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발레리아누스는 샤푸르 1세가 말을 탈 때 디딤으로 쓰이기도 했는데요 결국 260년 말에 옥사한 뒤에 시신은 박제되어 전시되고 로마 사신들에게 공개적으로 보여주어 모욕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여러 종교를 전부 섞은 교리의 종교인 마니교(Maichaeism)를 신봉하다 이후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를 신봉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아래 오른쪽 원통형 비문은 아시리아 왕 사르곤의 비문이 새겨진 점토 각주 비문입니다. 이 비문에는 거대한 근동 세계를 정치적으로 통합하는 것에 더해 언어적으로도 통합시키려는 의지를 표명한 내용인데요 이러한 의지와 같이 아시리아는 대제국으로서 발돋움하게 됩니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아시리아의 제왕들이 공용어로 선택한 언어는 아시리아어가 아닌 훨씬 익히기가 수월한 아람어였다는 점이 흥미롭네요. 이 사르곤 왕은 성서 이사야 20:1에 단 한번 언급되어 있는데요 비평가들은 사르곤이 아시리아의 기록이나 유물로 전혀 알려지지 않았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인물이거나 건축가였다고 주장하곤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843년 이후에 니네베에서 북동쪽으로 20킬로미터 떨어진 코르사바드 마을에서 사르곤의 궁전과 왕실 연대기 비문이 발견되었고 여기에 두르샤루킨(Dur-Sharrukin)이라는 도시를 건설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이 사르곤이 아시리아의 가장 유명한 왕들 가운데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부조는 시무룸(Simurrum) 왕국의 이딘신(Iddin-sin) 왕이 도끼와 활을 들고 적을 짓밟은 상태로 이슈타르 신 앞에 서 있는 모습입니다. 이 왕국은 여러 비문을 통해 상당히 강력한 왕국이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아카드 제국(Akkadian Empire)과 정기적으로 충돌하였는데요 이 왕국은 신수메르 제국이라 불리는 우르의 제3왕조의 붕괴 이후에 독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시무룸 왕국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주요 도시 국가로서 존재하고 있다가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시대 이후 기록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지금 보이는 부조는 황소를 죽이는 미트라(Mithra)신의 모습인데요 미트라는 로마의 신으로 미트라교에서 숭배되는 의인화된 태양신입니다. 이 신은 미트라스(Mithras)라는 이름의 페르시아의 신화에서 유래하였는데요 미트라는 고대 페르시아로 계약을 의미합니다. 이 신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란에서 가장 중요한 삼신 중 하나였습니다. 그래서 수사에 있는 비문에서는 ‘위대한 왕 크세르크세스 2세가 아후라 마즈다, 미트라, 아나히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내용도 있으며 이 신은 소아시아를 거쳐 로마인들에게까지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로마인들은 이 미트라를 태양신 솔과 동등하거나 그를 이긴 승자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미트라와 솔은 동일하지 않기에 미트라가 솔로부터 우주의 지배자 역할을 인계받은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는데요 로마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들 중 하나였습니다.

메소포타미아와 관련해서는 이렇게 두 편으로 봤는데요 다음 6부에서 그리스-로마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